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정가 16,000원
판매가 15,200원
저자/출판사 나카무라 하지메 지음/원영 옮김/문예출판사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04
발행일 2016-06-10
ISBN 9788931010015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입춘첩

이벤트

관련상품

  • 초기불교 94가지 주제로 풀다

    13,500원

책소개

『최초의 불교는 어떠했을까』는 세계적인 불교 연구의 권위자인 나카무라 하지메 도쿄대 교수가 NHK에서 강연한 초기 불교에 관한 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책은 빨리어 경전과 당시 사회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부처님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초기 불교의 본질을 풀어나간다.


저자소개

저자 나카무라 하지메(中村 元, 1912~1999)는 1912년 시마네 현에서 태어났다. 1936년 도쿄대학교 문학부 인도철학범문학과를 졸업하였다. 같은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하버드대학교와 스탠퍼드대학교의 객원교수를 역임하였다. 학계에서 은퇴한 뒤인 1970년 재단법인 동방연구회를 설립하고 원장을 맡아 오랫동안 후학을 양성하였으며, 학사원 은사상과 문화훈장을 받았다. 비교사상학을 정립하였고 한국관계학을 처음으로 개강하고 여러 대학에서 관련 학과를 개설하게 하는 등 한일불교학 교류에 큰 역할을 하였다. 《초기 웨단따 철학》, 《인도 사상사》, 《인도 고대사》, 《고따마붓다》, 《불교 대사전》, 《불타의 세계》 등 많은 저서와 논문을 남겼다.


역자 원영(圓映) 스님은 운문사 승가대학을 졸업하고 선원 안거 후, 일본 하나조노(花園)대학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율과 불교윤리 분야의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승려교육과 불교학 연구를 담당하는 교수사)로 동국대학교와 중앙승가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다. 불교계 청년멘토링 프로그램인 ‘청년출가학교’에서 지도 법사를 맡았으며, 현재는 BBS 불교 방송 〈좋은 아침 원영입니다〉를 진행하고 있다. 강의와 다양한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스님은 《부처님과 제자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계율과 불교윤리》(공저), 《대승계의 세계》, 《계율, 꽃과 가시》(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올해의 불서로 선정), 《인생아, 웃어라》(세종문학나눔도서로 선정) 등의 저서를 펴냈다. 역서로는 《일일시수행》, 《붓다가 말하는 인간관계의 지혜》 등이 있다.


목차

저자 서문 

옮긴이 서문 


제1장 불교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1. 사회적 기반 

인종을 초월한 사람들 / 국가와 도시 / 계급의 붕괴 

2. 다양한 사상가들 

도덕부정론 - 뿌라나 / 일곱 가지 요소설 - 빠꾸다 / 숙명론 - 고살라와 아지위까교 / 유물론 - 아지따 / 회의론 - 산자야 / 원시 자이나교 


제2장 부처님은 어떤 분이셨을까 

태어남 / 젊은 시절 / 구도의 길 / 전도의 길 / 입멸의 순간 / 경전 말씀 


제3장 불교의 본질을 말하다 

여러 학설의 대립 / 부처님의 비판 / 논쟁 초월 / 합리적 사유 / 진리를 말하다 / 초월적·유화적 성격 / 마음의 평안을 목표로 삼다 / 법을 보는 자 / 모든 종교를 초월하다 / 교설의 실천적 성격 


제4장 괴로움과 무상 

불타는 세상 / 괴로움의 본질 / 인간을 움직이는 욕망 / 여러 가지 번뇌 / 죽음의 위기 / 무상이란 무엇인가 / 무상의 이론적 반성


제5장 자아 탐구 

아와 무아에 대하여 / ‘내 것’이라고 보지 말라 / ‘내 것’이라는 관념 / 을 버려야 하는 이유 / 나는 잡을 수 없다 / 자기를 아는 사람 /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 / 윤리적 주체인 자아 / 두 가지 자기 모습 / 자아의 완성 / 법을 즐기다 / 영원한 이치 / 비아설이란 무엇인가 


제6장 헷갈리는 것과 이상적인 것 

윤회도 해탈도 자신이 만든다 / 불교는 인간 완성이 목표다 / 맑고 찬 호수 같은 고요함 / 인간을 초월한 즐거움 / 생사 초월 / 니르와나란 어떤 것인가 / 니르와나에 관한 설명 / 현실 속에 산다는 것 / 해탈한 사람의 사후 


제7장 자비 

자와 비는 어떻게 다른가? / 자비는 순수한 사랑이다 / 자비를 실천하다 / 남을 측은하게 여기는 이유 / 모든 생명 있는 것은 나의 자식이다 


제8장 불안과 고독 

현세적인 것에 대한 절망 / 밤낮이 지나가듯 생명도 사라진다 / 인간은 누구나 고독하다 / 자연을 즐기며 사는 사람들 / 불현듯 찾아오는 깨달음의 순간 / 고독한 사람들이 더불어 사는 길 


제9장 초기의 교단 

가르침을 듣는 사람들 / 출가 수행자가 된다는 것 / 부처님을 따르는 사람들의 모임 / 계급적·신분적 차별을 떠난 사람들 / 부처님을 따르는 사람들 / 마음을 제어하여 성실하게 수행하라 / 쾌락의 맛은 짧고 고통은 길다 / 깨어 있는 마음으로 늘 조심해야 하는 계율 / 현명한 사람은 걸식해야 한다 


제10장 생활윤리의 기초 

불교에서 말하는 윤리란 무엇인가 / 어느 시대나 구현되어야 할 법이 있다 / 도덕적 품성이 갖춰졌는가 


제11장 남녀 사이의 윤리 

사랑한다면 도리를 지켜라 / 아내는 최상의 벗이다 / 남편은 아내에게 어떻게 해야 할까 / 아내는 남편에게 어떻게 해야 할까 / 결혼생활이란 무엇일까 / 여인으로 산다는 것 


제12장 가정의 윤리 

가족에 대한 생각 / 가정생활과 종교의 역할 / 부모·자식 사이의 윤리 / 자식이 지켜야 할 덕목 / 부모가 지녀야 할 의무 / 사회인으로서 부모의 도리 


제13장 사회생활의 윤리 

개인이 지켜야 할 도덕 / 오계란 무엇인가 / 사회인의 마음가짐 / 고용관계를 설명하다 / 사제 간의 윤리 / 친구 사이를 말하다 


제14장 경제에 관한 윤리 

불교의 경제윤리 / 중도에 의한 균형 있는 경제생활 / 베푸는 것에도 도덕이 있다 / 생산문제와 분배문제 


맺음말




책 속으로

ㆍ 불교는 붓다(Buddha)가 창시한 가르침입니다. 붓다는 한자로 ‘佛’ 또는 ‘佛陀’라고 쓰는데 원음을 따라 쓴 것입니다. ‘붓다’라는 것은 ‘깨달은 사람’, ‘깨어 있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우리처럼 평범한 사람들은 미혹 속에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지만, 탁 하고 어느 순간 깨달았다고 해서 이렇게 불립니다. 

부처님의 성은 고따마(Gotama), 이름은 싯닷따(Siddhatta, 悉達, 悉陀)라고 합니다. 고따마란 ‘가장 좋은 소’라는 의미로 인도에서는 고귀한 성으로 인식합니다. 싯닷따는 빨리어로 ‘목적을 달성한 사람’이라는 뜻이며, 가계는 예로부터 ‘태양의 후예’라고 일컬어졌습니다. (45쪽) 


ㆍ 왕비가 물었습니다. 

“대왕이시여, 당신께서도 자기보다 더 사랑스러운 것이 있습니까?” 

“말리까여, 나도 나보다 더 사랑스러운 것은 아무것도 없다” ( 《 쌍윳따니까야 》 Ⅲ, 1, 8 vol.Ⅰ, p. 75). 

빠세나디 왕은 홀로 궁전에서 내려와 부처님에게 가서 이 이야기를 털어놓았습니다. 그때 부처님은 이것을 알고 다음과 같은 게송을 설했습니다. 

“생각에 따라 어떤 방향으로 향한다 해도 자기보다 더 사랑스런 것은 없다. 그와 같이 다른 사람도 자신이 가장 사랑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은 남도 해치지 말아야 한다.” (114~115쪽) 


ㆍ 우리 존재의 깊은 곳에 숨어 있는 맹목적 근본충동인 망집은 실로 끊어내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것을 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 의문에 부처님은 ‘망집을 없앤 모습’을 가르쳤습니다. “이 세상에서 보거나 듣거나 생각하거나 식별한 모든 좋은 것에 대한 욕망이나 탐욕을 제거하는 것이 불멸의 니르와나의 경지다. 이 사실을 잘 알고 조심하여 현세에서 완전히 번뇌를 제거한 사람들은 항상 평안에 들어간다. 세상의 집착을 초월한 것이다” ( 《 쌍윳따니까야 》, 1086 ; 1087). 따라서 “아름다운 모습에 애착을 일으키지 말라” ( 《 쌍윳따니까야 》, 943)고 말했습니다. (146쪽) 


ㆍ 음주를 금했다는 것은 초기 불교가 가진 세속적인 도덕 가운데 큰 특징입니다. 이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인도 및 남아시아에 남아 있습니다. 인도의 바라문은 술을 마시지 않고, 인도 정부의 공적인 모임에서는 술을 내놓지 않습니다(하지만 오늘날에는 개인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들 이 급속히 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인도에서는 왜 술 마시는 것을 싫어하는 걸까요? 인도 사람들은 가난하기 때문에 좀처럼 술을 살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야자나무에 올라가서 열매를 따 내려와 칼로 상처를 내어 놔두면 하루 만에 발효되는 그것을 마십니다. 다만 정제되지 않아 건강에는 별로 좋지 않습니다. 또 더운 나라에서는 함부로 술을 마시면 몸을 망가뜨리기 쉽습니다. 그래서 음주를 금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북방으로 가면 금주에 관한 계율이 느슨해집니다. 네팔의 칼리 여신 등을 모시는 힌두교 사원에는 경내에 주점도 있습니다. 이런 것으로 보아 초기 불교에서 술을 금했던 것은 아마도 풍토적·사회적인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266~267쪽) 


ㆍ 그렇다면 불교는 왜 생산에 관한 윤리를 설하지 않고, 오직 분배의 도덕만을 강조한 것일까요? 그것은 결국 인도 고유의 경제 풍토 때문으로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인도는 풍토의 특성상, 의식주에 관해서는 그렇게 신경을 쓰지 않고도 살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인도인은 더운 기후 탓에 의류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았습니다. 주거에 관해서도 대부분의 사람이 작은 집에 사는 것을 불평하지 않았습니다. 식량 생산을 위해서도 그다지 인위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았습니다. 벼를 1년에 두 번 수확한다는 것이 그리스인 메가스테네스에게는 경이로운 일이었으니까요. 그 대신 가뭄이라도 생기면 어이없이 굶어 죽는 사람들이 속출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운명이라 여기며 체념했 

습니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생산하는’ 도덕보다 ‘나누는’ 도덕이 강조되는 것이 더 마땅한 일이겠지요. (298~299쪽)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